‘흔들리지 않는 중심’, 아니 ‘흔들려야 중심’


연애는 늘 하고 있었지만 사랑에는 늘 실패한 것 같은 느낌. 그것이 내 20대의 사랑이 줄곧 아픔으로 끝나던 이유였다. 연애보다는 사랑을, 사랑보다는 나 자신을 더 사랑했기 때문에 나는 계속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 이제야 아주 어렴풋이 알 것 같다. ‘완벽한 사랑’을 상정해 놓고, ‘내 불완전한 사랑’의 모자람에 조바심쳤기 때문에, 바로 옆에 있는 사람의 아픔을 헤아리지 못했다는 것을.


나는 언젠가는 사랑에 있어 ‘흔들리지 않는 중심’이 생길 거라 믿었다. 그러나 지금 나는 그 ‘흔들리지 않는 중심’을 살짝 고쳐놓는다. ‘흔들리지 않는 중심’이 아니라, ‘흔들려야 중심’이라고. 이 사람 저 사람 사이에서 흔들린다는 뜻이 아니라, 살아 있는 한 우리는 방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랑의 모습 또한 그 방황의 그림자처럼 변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그러니 ‘영원한 사랑’을 향해 목맬 필요는 없다. 언젠가는 저절로 알게 된다. 인생이라는 배 위에서 함께 흔들리고, 함께 낭떠러지로 떨어져 가끔은 어푸어푸 잠수도 하면서, 내가 아무리 흔들려도 나와 함께 같이 흔들려줄 사람을 찾게 되면. 사랑이라는 이상향보다는 사랑하는 사람이 중요하다는 것을. 사랑이라는 개념보다는 연애라는 현실이 중요하다는 것을. 사랑도, 연애도, 지금 내 곁에 있는 사람보다 더 중요하지는 않다는 따끈한 진실을.


난해한 상형문자처럼 어렵기만 한 ‘너’


사랑하는 사람의 마음이 마치 난해한 기호처럼 우리 앞을 가로 막을 때가 있다. 애인에게는 얼짱 각도만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영혼의 감시카메라가 좀처럼 닿을 수 없는 사각지대가 숨어 있다. 언제 뜻밖의 모습을 드러낼지 모르는, 섬뜩한 부분. 그건 사실 세상에서 가장 잘 안다고 착각하는 ‘내 마음’에도 있다. 애인과의 말다툼이야말로 바로 이 ‘나도 모르는 나’가 언제 튀어나올지 모르는 응급상황을 연출한다.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서운한 감정을 느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문장. ‘네가 나한테 어떻게 이럴 수가 있어?’ 이 문장은 사실 ‘바로 너이기 때문에 나를 가장 아프게 할 수밖에 없는 부분’을 건드리는 것이다. 그토록 사랑하지 않았다면, 그렇게 마음 아플 일도 없음을, 우린 알고 있지만, 당할 때마다 가슴이 찢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네가 나한테 어떻게 이럴 수가 있어?’ 이 문장이 생각날 때, 그 사랑은 우리를 시험대 위에 세운다. 그가 날 정말 사랑한다면, 그럴 수가 있을까. 어쩌면 이 정도 상황에 서운해하는 나야말로 그 사람을 덜 사랑하는 것이 아닐까. 내 사랑은 이것밖에 안 되는 것일까.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나면, 이렇게 서로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 ‘사랑의 부족’이 아니라 ‘이해의 부족’ 때문임을 깨닫게 된다. 여자들이 가장 ‘내 편’이 필요할 때, 남자들이 선뜻 ‘편’을 들어주지 않는 것은, 그 상황의 ‘억울함’보다는 그 상황의 ‘해결가능성’을 먼저 생각하기 때문일 때가 많다. 여자들은 어떻게든 ‘대화’를 시도할 때, 남자들이 마음의 동굴 속으로 숨어버리는 것은, 그 순간은 ‘연인과의 대화’보다 ‘자기와의 대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세상에서 가장 이해하고 싶은 사람이 도저히 이해되지 않을 때. 우리는 사랑에 절망하고, 나 자신에게 실망하기 쉽다. 하지만 그럴 때마다 필요한 것은 ‘더 나은 이해력’보다는 ‘더 기나긴 기다림’이다. 사랑하는 사람이 도저히 이해되지 않을 때, 일단 진실을 캐내기 위해 전전긍긍하거나, 마치 죄인을 심문하듯 상대를 다그쳤던 나의 20대. 그때는 이 ‘기다림’이라는 만병통치약을 믿지 못했다. 그렇게 대책 없이 기다리다가는 사랑마저 식어버릴까 봐 두려웠던 것이다.


하지만 ‘나는 당신을 이해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최소한의 사인만 보내면서 묵묵히 기다린다면, 상대방은 언젠가 마음을 열어준다. 알고 보면, 이해하지 못하는 나보다, 이해받지 못하는 그 사람이 더 답답하기 때문이다. 그 마음이 열릴 때까지, 우리는 좀 더 열심히 사랑하면 된다. 핑퐁처럼 신출귀몰한 속도로 주고받는 말싸움보다, 양궁처럼 활을 쏘기 전에 우선 ‘나 자신의 마음’부터 가다듬는 기다림이 마침내 보약이 된다.


사랑을 통해 우리는 인간의 마음 가장 깊은 곳까지 들어가게 된다. 신기하게도, 그 ‘가장 깊은 곳’이란 점점 더 깊어지는 것만 같다. 아무리 읽으려 해도 잘 읽히지 않는 상대의 마음보다는 오히려 자기의 마음 속 깊은 곳에 가 닿기도 한다. 나에게 이런 면이 있었나? 내가 과연 이런 사람이었나? 사랑 때문에 우리는 자기 내부에 숨어 있던 뜻밖의 공격성을 발견하기도 하고, 의외의 냉혹함과 차분함을 발견하기도 한다.


이 사랑이 나를 시험하는 것 같아, 어디까지 갈 수 있니, 어디까지 갈 수 있겠니, 스스로를 다그쳐보기도 한다. 이 사랑의 성패 여부가 마치 내 인생의 향방을 결정지을 것 같은, 불타는 승부욕을 느낄 때도 있다. 하지만 그런 시간이 지나고 나면, 가장 오래 남고, 가장 소중한 감정은, 내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내가 가진 최선을 다하는 것임을 알게 된다. ‘사랑의 정의’가 아니라, ‘연애의 법칙’이 아니라, 내 앞에 서 있는 이 사람의 지친 어깨를 한 번 더 안아주는 것이 지금 우리에게 허락된 가장 아름다운 기적임을 알게 된다.



정여울의 <그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中



'ESSSS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떻게 살 것인가  (0) 2013.09.13
밤운전  (0) 2013.05.29
코로나와  (0) 2013.05.21

+ Recent posts